건강 정보활용법
SCR vs RSA 선택 기준 정리
slowri
2025. 3. 22. 00:46
SCR(상부 관절막 재건술)과 RSA(역행성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의 적용 기준(Indications)을 보다 세부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SCR (Superior Capsular Reconstruction, 상부 관절막 재건술)
적응증 (Indications)
-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Massive Rotator Cuff Tear)
- 특히 상부 회전근개(Supraspinatus, 상완극근)와 극하근(Infraspinatus)의 광범위 파열
- 회전근개 봉합술로는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
- 회전근개 불가역적 지방 변성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with Fatty Atrophy)
- Goutallier grade 3~4 이상 (심한 지방 변성으로 기능 회복이 어려운 경우)
- 어깨 관절의 불안정성 (Superior Migration of Humeral Head)
- X-ray에서 상완골두가 과도하게 상승(humeral head migration)하여 견봉과 근접한 경우
- 관절염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Minimal or No Glenohumeral Arthritis)
- Glenohumeral joint(견관절)의 연골이 비교적 보존되어 있는 상태
- Glenohumeral arthritis가 심하면 RSA가 더 적합
- 삼각근 기능이 정상적인 경우 (Intact Deltoid Function)
- 삼각근(deltoid muscle)의 기능이 온전해야 SCR 후 기능 회복 가능
- 고령이 아닌 활동적인 환자
- 보통 65세 미만, 활동성이 높은 환자
- 인공관절보다 자연 관절을 보존하고 싶은 경우
금기증 (Contraindications)
- 회전근개 파열과 함께 심한 견관절 관절염 (Severe Glenohumeral Arthritis, Hamada Grade 3~4)
- 삼각근 기능이 저하된 경우
- 고령(일반적으로 70세 이상)으로 인공관절이 더 적합한 경우
2. RSA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역행성 어깨 인공관절 치환술)
적응증 (Indications)
-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로 인해 심한 관절 기능 저하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 with Pseudoparalysis)
- 환자가 능동적으로 팔을 들 수 없는 경우 (Pseudoparalysis, 가성마비)
- SCR로 회복이 어려운 경우
- 회전근개 파열성 관절병증 (Rotator Cuff Arthropathy, Hamada Grade 3~5)
- 상완골두(humeral head)가 상승하고, 관절염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
- 고령 환자 (보통 70세 이상)
- 젊은 환자는 SCR을 고려하지만, 고령자는 RSA가 더 적합
- 이전 회전근개 봉합술 실패 (Failed Previous Rotator Cuff Repair)
- SCR이나 다른 봉합술 후에도 어깨 기능이 지속적으로 악화된 경우
- 삼각근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 (Intact or Functional Deltoid Muscle)
- 삼각근이 기능을 유지해야 RSA 후 어깨 운동이 가능
- 골절 후 관절염 (Post-Traumatic Arthritis or Severe Fracture of Proximal Humerus)
- 상완골 근위부 골절(특히 3-4 part fracture, Neer classification) 후 RSA가 필요할 수 있음
-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기타 염증성 관절 질환
- Glenohumeral joint에 심한 염증이 있는 경우
금기증 (Contraindications)
- 삼각근 기능이 완전히 상실된 경우
- 어린 나이(일반적으로 60세 이하)로 자연 관절 보존이 가능한 경우
- 뼈 질환이 심해 RSA 임플란트가 고정되기 어려운 경우 (Severe Osteoporosis)
SCR vs RSA 선택 기준 정리
기준 SCR (Superior Capsular Reconstruction) RSA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연령 | 일반적으로 65세 미만 | 일반적으로 70세 이상 |
회전근개 상태 | 광범위 파열 but 관절염 없음 | 광범위 파열 + 관절염 심함 |
관절염 정도 | 관절염 없음 또는 경미함 | 회전근개 관절병증 (Hamada 3~5) |
삼각근 기능 | 정상 기능 유지됨 | 정상 기능 유지됨 (필수) |
수술 후 기대 | 자연 관절 보존 | 어깨 기능 회복 (특히 가성마비) |
이전 치료 실패 | 봉합술 실패 후 대안 | SCR 또는 봉합술 실패 후 최후 선택지 |
기타 고려사항 | 활동성이 높은 환자 | 골절, 류마티스 등 특수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 |
SCR은 자연 관절을 보존하려는 젊고 활동적인 환자에게, RSA는 관절염이 심하거나 가성마비가 있는 고령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