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활용법

잔여 연차 돈으로 계산하는 법

slowri 2025. 4. 7. 10:38

잔여 연차 돈으로 계산하는 법

💰잔여 연차 돈으로 계산하는 법 (Feat. 연차수당 정확하게 받기)

직장 생활 중 남은 연차를 돈으로 바꿔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단순히 ‘하루 월급 곱하기 남은 연차 수’로 계산하면 안 됩니다.
오늘은 정확하게! 잔여 연차 수당 계산법을 알려드릴게요.


✅ 잔여 연차 수당이란?

회사가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게 했거나,
퇴사하면서 남은 연차가 있을 경우,
근로자는 돈으로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기 때문에, 꼭 챙기셔야 해요!


✏️ 잔여 연차 수당 계산법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일 통상임금 × 남은 연차 일수 = 연차 수당

🔍 통상임금이란?

기본급 + 매월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
(식대, 교통비, 직책수당 등도 포함 가능)

🧮 예를 들어볼게요!

  • 기본급: 2,000,000원
  • 식대: 100,000원
  • 직책수당: 200,000원
  • 월 근무일수: 21.75일 (통상 기준)
  • 남은 연차: 5일

👉 통상임금 = 2,000,000 + 100,000 + 200,000 = 2,300,000원
👉 1일 통상임금 = 2,300,000 ÷ 21.75 = 약 105,747원
👉 연차수당 = 105,747 × 5 = 약 528,735원


💡 꼭 알아둘 팁!

  • 연차는 1년간 유효, 이후엔 소멸될 수 있음
  • 퇴사 시 남은 연차는 무조건 수당으로 정산
  • 연차 수당은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명시된 권리!

📝 연차 수당 신청 시 유의사항

구분 내용

정산 시기 퇴사일 또는 연도 말 기준으로 정산
신청 방법 인사팀 또는 급여 담당자에게 요청
관련 서류 급여명세서 확인으로 정산 내역 확인 가능

 


📌 마무리 한마디

남은 연차, 절대 그냥 넘기지 마세요.
정당한 권리로 돈으로 받는 방법, 오늘 확실히 아셨죠?
혹시라도 계산이 어렵다면 급여 명세서 확인
회사에 정산 요청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태그

#연차수당 #잔여연차계산법 #퇴사정산 #연차계산기 #직장인꿀팁 #노동법 #연차정산 #급여관리


 [퇴사 연차 정산 예시]

[자동 계산 엑셀]

퇴사_연차수당_자동계산.xlsx
0.01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