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활용법
온라인 여권 발급 방법 총정리!
slowri
2025. 6. 9. 12:50
🛂 온라인 여권 발급 방법, 5분만에 정리해드립니다!
“여권 갱신하려고 보니 민원실 방문까지… 너무 번거롭다구요?”
요즘은 온라인으로 여권을 신청하고 발급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단수여권이 아닌 일반복수여권 갱신자라면 집에서 클릭 몇 번으로 끝낼 수 있어요!
✅ 온라인 여권 발급 대상자
구분 | 가능 여부 | 비고 |
---|---|---|
신규 발급 (처음 여권) | ❌ 불가능 | 직접 방문 필요 |
만료 전 갱신 | ⭕ 가능 | 기존 여권 실물 보유 必 |
여권 분실 재발급 | ❌ 불가능 | 신분 확인 필요 |
미성년자(만 18세 미만) | ❌ 불가능 | 법정대리인 동의 必 |
💡 즉, “성인 본인 명의의 여권 갱신”만 온라인 발급 가능!
📝 온라인 여권 발급 절차 (2025년 기준)
1️⃣ 온라인 신청
- 사이트 접속: 정부24 여권 재발급 신청
- 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 여권 정보 확인 후 신청
- 수수료 납부: 여권 종류별로 상이 (예: 10년 복수여권 53,000원)
2️⃣ 여권 사진 업로드
- 배경 흰색, 최근 6개월 내 촬영
- 3.5x4.5cm, JPG파일, 300dpi 이상
- 포토샵 보정 금지 (적발 시 반려)
3️⃣ 발급기관 선택
- 원하는 시·군·구청 민원실 선택
- 신청 후 해당 구청에서 여권 수령 (우편 수령 불가)
4️⃣ 수령 알림 & 방문 수령
- 신청 후 약 3~5일 소요
- 문자 알림 또는 정부24에서 진행상황 확인
- 본인이 직접 수령, 신분증 지참
💰 여권 수수료 (2025년 기준)
여권 종류 | 수수료 | 비고 |
---|---|---|
전자여권 (10년) | 53,000원 | 만 18세 이상 |
전자여권 (5년) | 45,000원 | 만 8~17세 |
전자여권 (5년 미만) | 33,000원 | 만 7세 이하 |
여행증명서 | 15,000원 | 긴급 단수용 |
💡 온라인 신청 시에도 동일 요금이 적용되며, 카드/계좌이체 가능!
⚠️ 온라인 신청 전 유의사항
- 기존 여권과 정보 불일치 시 접수 거절
- 신청 완료 후 사진 변경 불가, 신중히 업로드
- 수령일로부터 6개월 내 미수령 시 폐기
- 여권 수령 시 기존 여권 지참 및 반납 필요
✅ 이런 분께 온라인 발급 추천드려요
- ✔️ 여권 유효기간이 6개월 이내로 남은 직장인
- ✔️ 점심시간에 민원실 갈 시간이 없는 분
- ✔️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 거주하면서 관공서 접근성 좋은 분
✍️ 마무리 한마디
“이제 여권 갱신도 온라인으로 끝내는 시대입니다.”
여권 만료 6개월 전부터는 언제든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니,
여행 계획 중이라면 미리 갱신해두는 것이 현명해요.
📌 다음 글에서는 여권 사진 규정 불합격 사례 모음도 정리해볼게요!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