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장 예절: 꼭 알아야 할 기본 매너
장례식장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이므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보자라도 실수하지 않도록 장례식장 방문 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예절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장례식장 방문 시 복장
① 남성 복장
- 검은색 정장, 검은색 넥타이, 검은색 구두 착용
- 흰색 셔츠 (패턴 없는 것이 좋음)
② 여성 복장
- 검은색 정장 또는 원피스, 블라우스와 검은색 하의
- 검은색 스타킹과 단정한 구두 착용
③ 피해야 할 복장
- 화려한 색상의 옷 (빨강, 노랑 등)
- 캐주얼한 옷 (청바지, 반바지, 운동복 등)
- 과한 액세서리 (화려한 목걸이, 귀걸이, 반짝이는 가방 등)
2. 조문 방법 및 절차
① 장례식장 도착 후
- 접수대에서 방명록 작성 후 부의금 전달
- 조문객 명단에 이름을 남기는 경우도 있음
② 분향 및 헌화 예절
- 고인의 영정 앞에 서서 묵념 후 향을 피우거나 헌화를 올림
- 향을 사용할 경우 1~2개 정도 피우고 두 손으로 공손히 올림
- 헌화할 때는 꽃봉오리가 영정을 향하도록 함
③ 유족 위로
- 상주(고인의 가족)에게 다가가 조용한 목소리로 위로의 말을 건넴
- 너무 길지 않게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또는 “마음 깊이 애도합니다”라고 간결하게 인사
④ 절하는 방법
- 남성: 두 번 절
- 여성: 왼손이 위로 가도록 합장 후 두 번 절
- 종교에 따라 묵념만 하기도 함
3. 부의금 준비 및 전달 방법
① 부의금 봉투 사용법
- 흰 봉투 또는 검은색 테두리가 있는 봉투 사용
- 현금은 깨끗한 지폐로 준비 (금액은 홀수로 맞추는 것이 일반적)
② 부의금 봉투 작성 예시
- 한자 표현: 謹弔(근조), 奠儀(전의)
- 한글 표현: “조의” 또는 “부의”
- 봉투 앞면에 “○○○ (고인과의 관계) 드림” 기재
③ 부의금 금액 예시
- 일반적인 경우: 3만 원~5만 원
- 가까운 지인: 5만 원~10만 원 이상
- 가족, 친척: 10만 원 이상
4. 장례식장에서의 행동 주의사항
- 큰 소리로 웃거나 떠들지 않기
- 유족에게 너무 자세한 질문(사망 원인 등) 하지 않기
- 과음하지 않고 조용히 행동하기
- 다른 조문객들과의 지나친 잡담 자제
5. 종교별 장례식 예절 차이
종교 장례식 방식 조문 방식
불교 | 향 3개 피우고 합장 | 묵념 또는 합장 후 절 2번 |
기독교 | 헌화 (향 피우지 않음) | 목례 후 조용히 기도 |
천주교 | 성수 뿌리기 | 십자가 성호를 긋고 기도 |
장례식장 방문은 고인을 기리는 중요한 자리이므로 기본적인 예절을 숙지하고 진심 어린 태도로 조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생활 정보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황별 돈 봉투 작성법: 예의 바른 표현과 주의할 점 (0) | 2025.03.23 |
---|---|
상황별 절하는 방법: 올바른 예절 가이드 (0) | 2025.03.22 |
구글 서치 콘솔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해결 방법 (1) | 2025.03.20 |
새집증후군 관리 방법 총정리! (0) | 2025.03.19 |
마포구 노터치 세차장 추천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