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Lambda는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Lambda를 활용하면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용 효율적으로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WS Lambda를 사용하여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1. AWS Lambda의 개념과 장점
AWS Lambda는 요청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고 사용된 컴퓨팅 자원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는 서버리스 서비스입니다.
주요 장점
- 서버 관리 불필요: 인프라 설정, 관리, 유지보수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 비용 효율성: 요청 수와 실행 시간에 따라 비용이 발생하므로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자동 확장성: Lambda는 트래픽 증가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됩니다.
- 다양한 이벤트 트리거: S3, API Gateway, DynamoDB, CloudWatch 등 AWS 서비스와 통합 가능합니다.
Lambda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면서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구성요소 정의
AWS Lambda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려면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를 이해해야 합니다.
- Lambda 함수: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한 실행 단위입니다.
- 트리거 이벤트: Lambda 함수를 호출하는 이벤트 소스입니다. 예: S3 버킷, DynamoDB 스트림, API Gateway.
- IAM 역할: Lambda 함수가 AWS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설정합니다.
- CloudWatch Logs: 함수 실행 중 생성된 로그를 모니터링하고 디버깅에 활용합니다.
3. Lambda 함수 생성 및 배포
AWS Lambda로 간단한 Node.js 기반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Lambda 함수 생성
-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하고 Lambda 서비스로 이동합니다.
- "Create function"을 클릭하고 다음 옵션을 선택합니다.
- Author from scratch: 새 Lambda 함수 생성.
- Function name: MyFirstLambdaFunction
- Runtime: Node.js (예: Node.js 18.x)
- IAM 역할을 선택하거나 새 역할을 생성합니다.
- "Create function"을 클릭하여 함수를 생성합니다.
2) 함수 코드 작성
Lambda 콘솔에서 코드를 직접 작성하거나 로컬에서 개발 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간단한 Hello World 예제입니다.
exports.handler = async (event) => {
return {
statusCode: 200,
body: JSON.stringify('Hello, AWS Lambda!'),
};
};
3) 함수 배포
- 코드를 작성한 후 "Deploy" 버튼을 클릭하여 함수를 배포합니다.
- "Test" 버튼을 클릭하고 이벤트를 정의하여 코드를 테스트합니다.
4. 트리거 추가 및 애플리케이션 연동
1) API Gateway를 활용한 HTTP 트리거 추가
Lambda 함수에 API Gateway를 연결하여 HTTP 요청으로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 API Gateway 콘솔로 이동하여 새 API를 생성합니다.
- "Add integration"에서 Lambda 함수를 선택합니다.
- API Gateway URL을 복사하고 Postman 또는 브라우저에서 테스트합니다.
2) S3 이벤트 트리거
Lambda 함수가 S3 버킷의 파일 업로드 이벤트에 반응하도록 설정합니다.
- S3 콘솔로 이동하여 버킷을 선택합니다.
- "Properties" 탭에서 이벤트 트리거를 추가하고 Lambda 함수를 선택합니다.
- 버킷에 파일을 업로드하여 Lambda 함수를 실행합니다.
3) DynamoDB 스트림 트리거
DynamoDB 테이블의 변경 이벤트를 Lambda로 처리하도록 설정합니다.
- DynamoDB 콘솔에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 "Manage Stream"에서 DynamoDB 스트림을 활성화합니다.
- Lambda 함수와 트리거를 연결합니다.
5. 배포 자동화 및 모니터링
1) 배포 자동화
- AWS SAM (Serverless Application Model) 또는 Terraform을 사용하여 Lambda 애플리케이션을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AWS CLI를 사용해 스크립트 기반으로 배포할 수도 있습니다.
2) 모니터링 및 로깅
- CloudWatch Logs를 통해 Lambda 함수의 실행 결과와 오류를 모니터링합니다.
- AWS X-Ray를 사용하면 Lambda 함수의 성능을 분석하고 병목 현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결론
AWS Lambda는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개발, 배포, 확장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입니다. Lambda의 다양한 기능과 AWS 서비스와의 통합을 활용하면, 서버 관리에 대한 부담 없이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본 가이드를 참고하여 Lambda 기반의 서버리스 환경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AWS 서비스를 조합해 확장 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세요!
'소프트웨어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랙(Slack)의 고급 채널 관리와 자동화 팁 (2) | 2025.01.22 |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고급 디버깅 기능 완벽 활용법 (3) | 2025.01.22 |
Docker Compose 심화 학습: 멀티 컨테이너 환경 설정하기 (5) | 2025.01.21 |
SQL 데이터 분석을 위한 DBeaver 고급 활용법 (1) | 2025.01.20 |
JetBrains 도구로 협업 코드 리뷰 진행하기 (2)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