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활용법

헷갈리는 임대 용어 총정리! 전세·월세·보증금 정확히 알기

slowri 2025. 4. 6. 13:10

헷갈리는 임대 용어 총정리! 전세·월세·보증금 정확히 알기

헷갈리는 임대 용어 총정리! 전세·월세·보증금 정확히 알기

“임대차 계약할 때, 이 용어들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부동산 계약은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계약서에 자주 등장하는 ‘임대’, ‘전세’, ‘보증금’ 같은 용어들,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이번 글에서는 헷갈리기 쉬운 임대 관련 용어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임대 vs 임차

  • 임대(賃貸): 집을 빌려주는 행위 (집주인 입장)
  • 임차(賃借): 집을 빌려서 사용하는 행위 (세입자 입장)
    예시:
    "김 씨는 자신의 아파트를 임대하고, 박 씨는 이를 임차했다."

2. 전세

  •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맡기고 일정 기간 동안 집을 사용하는 형태
  • 계약 기간 동안 추가 월세 없이 거주 가능
  • 계약 종료 시 보증금 전액 반환

예시:
“보증금 2억 원으로 2년간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


3. 월세

  • 보증금을 일부 내고, 매달 일정 금액의 임대료를 지불하는 방식
  • 흔히 ‘반전세’라 불리는 형태도 여기에 포함

예시:
“보증금 1,000만 원, 월세 60만 원 조건의 계약을 했다.”


4. 반전세

  • 전세와 월세의 중간 형태
  • 전세보다 적은 보증금 + 비교적 낮은 월세
  • 계약서에는 월세로 표기됨

예시:
“전세금이 부담돼서 보증금 5,000만 원 + 월세 30만 원 조건으로 반전세 계약.”


5. 보증금

  • 계약의 담보 역할을 하는 금액
  • 전세는 보증금만, 월세는 보증금 + 월세로 구성
  • 계약 종료 후 문제 없을 시 전액 반환

6. 관리비

  • 공동 시설 유지·운영에 드는 비용
  • 엘리베이터, 청소비, 경비, 수도세 등이 포함되기도 함
  • 계약 시 포함 여부 확인 필수

예시:
“월세 70만 원에 관리비 10만 원 별도.”


7. 계약갱신청구권

  • 세입자가 한 번에 한해 계약 연장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2020년 7월 이후 도입된 제도
  • 집주인은 특별한 사유 없으면 거절 불가

8. 확정일자

  • 전입신고와 함께 받는 날짜가 찍힌 도장
  • 보증금을 보호받기 위한 필수 절차
  • 주민센터에서 발급 가능

Tip: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계약서 상 임대인/임차인 정보 정확한가?
  • 보증금과 월세, 관리비 항목 명확히 기재되어 있는가?
  • 등기부등본 확인으로 집 소유주 일치 여부 체크
  •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완료

마무리
부동산 계약은 작지만 큰 돈이 오가는 중요한 일입니다.
용어 하나하나가 계약서의 ‘의미’를 바꾸기도 하니, 이번 기회에 꼭 정리해두세요!
궁금한 부동산 용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