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사업활용법

2025년 기준중위소득 기준과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총정리

slowri 2025. 4. 30. 09:13

✅ 2025년 기준중위소득 기준과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총정리

내 소득으로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 지금 확인해보세요!


🟩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정부에서 각종 복지제도와 지원금의 수급 자격 기준으로 삼는 소득기준입니다.
내 소득이 전체 가구의 중간보다 낮으면 다양한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에너지 바우처, 아이돌봄 지원 등 대부분 이 기준을 따릅니다.

🟨 2025년 기준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100%) 50% 이하 70% 이하 150% 이하
1인 2,280,000원 1,140,000원 1,596,000원 3,420,000원
2인 3,794,000원 1,897,000원 2,655,800원 5,691,000원
3인 4,889,000원 2,444,500원 3,422,300원 7,333,500원
4인 5,962,000원 2,981,000원 4,173,400원 8,943,000원
5인 6,922,000원 3,461,000원 4,845,400원 10,383,000원

정확한 소득은 ‘소득인정액’ 기준이며, 급여 외에 재산·금융도 포함됩니다.

🟦 기준중위소득별 받을 수 있는 주요 정부지원금

✔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 긴급복지 생계지원
  • 기초연금 + 기초생활보장 중복 가능

✔ 기준중위소득 70% 이하

  • 에너지 바우처
  •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지자체에 따라 상이)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확대형
  •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경감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 청년내일저축계좌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우대조건
  • 긴급복지 의료비 지원 일부

🟧 기준중위소득 초과해도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 청년희망적금 (소득 조건 있으나 중위소득 직접 기준 아님)
  • 저출산고령화 대응 출산·육아 지원금
  • 소상공인 창업자금, 일자리 안정자금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버팀목 전세대출

🟪 내 소득구간 쉽게 확인하는 방법

  • 복지로 ‘모의계산’ 서비스: https://www.bokjiro.go.kr
  •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방문 상담
  • 복지멤버십 자동안내 서비스: 등록만 해두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자동 안내

🎁 마무리 꿀팁: 꼭 기억하세요!

  •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8~9월경 다음 해 기준 고시
  • 가구원 수, 거주지 변경 시 자격도 변동 가능
  • 복지는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