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사업활용법

2025년 긴급복지 생계지원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slowri 2025. 4. 30. 09:19

✅ 2025년 긴급복지 생계지원 조건 및 신청 방법 총정리

갑작스럽게 생계가 어려워졌다면, 긴급복지제도를 꼭 확인해보세요.
정부가 위기 상황에 빠진 국민에게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등을 긴급 지원합니다.


🟦 긴급복지제도란?

갑작스러운 실직, 질병, 가정해체 등 위기 상황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사람에게 정부가 빠르게 일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신속한 지원을 위해 소득·재산 기준이 비교적 완화되어 있습니다.

🟩 어떤 경우에 신청할 수 있나요? (위기사유)

아래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청 가능합니다.

  • 실직 또는 휴·폐업으로 소득 상실
  • 중한 질병 또는 부상으로 병원비 부담 발생
  • 가정폭력, 학대, 방임, 가출 등으로 가족과 분리
  • 화재, 사고, 자연재해 등으로 거주지 상실
  • 기초생활수급 중단 또는 대기 중 극심한 생계 곤란

※ 위기사유는 지자체 판단에 따라 확대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소득·재산 기준 (2025년 기준)

1️⃣ 소득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가구원 수 소득 기준 (중위소득 85%)
1인 1,938,000원
2인 3,220,600원
3인 4,126,950원
4인 5,045,950원

2️⃣ 재산 기준

  • 대도시: 2억 4천만 원 이하
  • 중소도시: 1억 5천만 원 이하
  • 농어촌: 1억 3천만 원 이하

3️⃣ 금융재산 기준

  • 가구당 600만 원 이하 보유 시 가능
  • 단, 주거지원은 800만 원 이하까지 허용

🟥 지원 내용은 어떤 게 있나요?

구분 지원 내용 (1회 기준)
생계지원 4인 가구 기준 약 162만 원
의료지원 300만 원 이내 (입원 치료 등)
주거지원 최대 6개월 간 월세 지원 (지역별 차등)
사회복지시설 이용 1인 기준 월 65만 원 이내
기타 교육비, 장제비, 연료비 등 추가 항목 있음

🟪 신청 방법은?

  1. 신청 장소: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2. 온라인 사전예약: 복지로 사이트 → 긴급복지
  3. 필요 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위기 상황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진단서, 실직확인서 등)

📌 신청 후 절차

  1. 1단계: 신청 접수
  2. 2단계: 현장 확인 및 소득·재산 조사 (5일 이내)
  3. 3단계: 심의 후 7일 이내 지원 결정
  4. 4단계: 지원금 계좌 입금 또는 서비스 제공

※ 긴급 상황임을 고려해 신속한 심사 및 선지급이 가능합니다.

📞 어디에 문의하나요?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관할 주민센터 또는 시·군·구청 복지과

💡 꼭 알아두세요!

  •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어도 위기 상황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
  • 중복 지원 가능성 있음: 긴급복지 → 기초생활수급 전환도 가능
  • ‘복지멤버십’에 가입하면 자동 안내 서비스 제공

📎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