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사업활용법

2025년 지자체별 신혼부부 지원 혜택 총정리

slowri 2025. 3. 3. 10:04

2025년 지자체별 신혼부부 지원 혜택 총정리

신혼부부를 위한 다양한 지원 혜택이 지자체별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주거 지원부터 결혼 장려금까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거주지에 맞는 혜택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주요 지자체의 신혼부부 지원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서울특별시

  • 신혼부부 결혼 준비 비용 지원: 신혼부부에게 결혼 준비 비용 120만 원 지급
  •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아이를 둔 무주택 가구에 2년간 총 800만 원 지원
  • 청년월세지원: 만 19세~39세 청년 대상 월 25만 원, 최대 12개월(총 300만 원) 지원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이자 지원: 부부 합산 연 소득 1억 5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대상, 전세 대출 이자 지원 (최대 3억 5천만 원 대출 가능)

2. 대전광역시 - 하니(HONEY) 대전 프로젝트

  • 결혼 장려금: 부부 각각 300만 원씩, 총 600만 원 지원
  • 주거 지원: 청년주택 2만 5천 호 공급, 행복주택 임대료 감면, 전세자금 및 주택구매 대출이자 지원 확대
  • 출산 지원: 양육수당 및 첫 만남 이용권 지급, 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

3. 부산광역시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지원: 연소득 9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 대상, 전세 대출 이자 지원 (최대 3억 원)
  • 결혼 장려금: 신혼부부 대상 300만 원 지급
  • 청년 및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4.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 신혼부부 주거자금 대출이자 지원

  • 대상: 혼인 신고 7년 이내, 부부 합산 연소득 9천만 원 이하의 무주택 가구
  • 지원 금액: 전·월세 대출금 이자의 최대 연 3.5% 지원 (대출잔액 1억 2천만 원 한도)
  • 지원 기간: 최대 3년

5. 전라북도 전주시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이자 지원: 최대 연 3.0% 이자 지원 (최대 1억 원 한도)
  • 결혼 장려금: 200만 원 지급

6. 충청남도 논산시 - 신혼부부 결혼 장려금

  • 대상: 2024년 1월 1일 이후 혼인 신고한 만 18세~45세 이하의 청년 부부
  • 지원 금액: 부부당 800만 원 (3년 동안 3차례 분할 지급)

7. 천안시 - 2025 희망의 집짓기

  • 대상: 무주택 신혼부부 20세대
  • 주택 형태: 전용면적 91.00㎡(26평) 복층구조의 단독주택

8. 경기도 수원시

  • 신혼부부 임대주택 지원: 공공임대주택 입주 우선권 제공
  • 결혼 축하금: 150만 원 지급

9. 광주시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지원: 연소득 1억 원 이하 신혼부부 대상
  • 결혼 장려금: 200만 원 지급

10. 기타 지자체 지원 혜택

  • 금산군: 만 49세 이하 부부에게 350만 원 지원 (1년 100만 원씩 분할 지급)
  • 무안군: 만 49세 이하 초혼 신혼부부에게 250만 원 지원 (6개월 이상 거주 조건)
  • 광양시: 만 49세 이하 신혼부부에게 250만 원 지원 (혼인 신고 후 6~12개월 내 신청)

11. 중앙정부 지원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소득 기준 완화: 기존 1억 원에서 1억 2천만 원으로 완화
  •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요건 완화: 2억 원에서 2억 2천만 원으로 완화

지자체별 지원 내용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해당 지역의 공식 웹사이트나 주민센터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혼부부 지원 혜택을 활용해 안정적인 신혼 생활을 시작해보세요!

반응형